Skip to the menu / 본문가기
SD Psyche

Sandoll

SD Psyche

2 Fonts 2025

「SD Psyche」 is a calm yet dreamy font for the title decorated with sharp serifs and organic joints.

SD Psyche is inspired by the symbolic meaning of the Greek word Psyche(Ψυχή). It means "breath, soul, and butterfly," and is also well-known as the goddess of mind and soul from Greek and Roman mythology and as the spouse of Eros (Cupid). You can see the images of letters that seem to be breathing in the air from the connecting strokes that link the flow of the characters. You can also see the dignity and firmness of the goddess Psyche at the Upright style with the restrained and straight impression, and the beautiful and round character at the Italic with the splendid impression.

As for the Latin alphabet design, it is designed to harmonize with Hangeul based on the structure of old-style serifs that make a classic impression. The combination of the downwardly sharp serif expression, which is often found in Latin scripts, and the positive thickness contrast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along with the organic and decorative curves that connect the strokes, gives you a strong sense of exotic and fantasy mood.

Why don't you experiment with various alternative characters using the OpenType features? Each function, such as old-style numbers and swashed capital letters, can be applied to create a special atmosphere.

About the font

  • Ma Kichan Lee Yoobin

  • Buri,Display,Serif

  • Hangeul 11,172 glyphs / Latin 95 glyphs / SD-KR Punctuations and etc. 420 glyphs / Alternative Latin 94 glyphs (Italic)

  • Latin and 1more
    Latin
    Korean

  • Use on the Web is freely available.

Preview

50px
  • Upright

    초록빛 고래수염과 높이뛰는 황새다리건널목 신호등 아래 솜사탕우주맛집
  • Italic

    초록빛 고래수염과 높이뛰는 황새다리건널목 신호등 아래 솜사탕우주맛집
  • 폰트를 고르고 계시는군요! 산돌구름에는 폰트가 많아서 고르기도 쉽지 않죠. 그렇다면 제가 도와드릴게요.안녕하세요, 저는 21년생 테리에요. 산돌 캐릭터 중에서 제가 좀 설명을 잘하는 편이거든요.먼저, ‘몇 글자부터 몇 문장 정도의 짧은 글’에 쓰신다면 직관적으로 판단하셔도 충분해요. “그래 이 느낌이지” 하는 거로요. 환경에서 100% 크기로 보시기를 권해드려요. 글자는 크기에 따라 느낌이 크게 달라지거든요. 아담할 때 매력적인 디자인, 큼직할 때 매력적인 디자인이 있어요. 대부분 폰트는 가장 돋보이는 크기 영역이 있답니다. 예를 들어 그레타산스 Heavy처럼 굵은 폰트를 작게 써버리면 획끼리 뭉쳐서 산뜻하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럴 때는 Bold로 한 단계 낮춰주시면 좋아요. 한편, ‘몇천 자부터 몇만 자 정도의 긴 글’에 쓰실 폰트를 고르신다면 담백하고 안정적인 것을 권해드려요. 적잖이 피곤한 여정이 될 테니까요. 이럴 때는 글자끼리의 균형을 살피시는 게 도움이 될 거예요. 다음 낱말을 소리 내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보시겠어요? 머리 대리, 명작 띵작, 댕이 멍이, 제비 제네, 귀리 커리, 괄시 팔시. 어때요? 폰트에 따라 차이가 날 거예요. 빠르고 정확할수록 판독성이 좋은 폰트인 거죠. 실제 글에도 폰트를 바꿔가며 ‘빨리 소리 내 정확히 읽어보기’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폰트를 고르는 기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면 다음에도 찾아주세요~ 저는 테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