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menu / 본문가기

[인터뷰] 안온하고 편안한 손글씨 '온편'의 이야기

Article 2024.09.20

 

Part 0. 디자이너 소개

 

Q. 안녕하세요. 이유빈 디자이너님,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산돌 안에서는 디자인 스튜디오의 이유빈 PD로, 산돌 밖에서는 '타입이응'이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인 폰트 디자이너 이유빈입니다. 반갑습니다!

 

 

Q. 유빈님은 지금까지 레터링이나 커스텀 폰트 작업을 해 오신 것으로 알고 있어요. 폰트 디자인을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으신가요? 

저는 대학교 1학년 때 타이포그래피 수업과 '한글꼴 연구회'라는 학교 소모임을 통해 폰트 디자인을 처음 접했어요. 그 전에도 글자를 그리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때는 레터링을 위주로 생각했었거든요. 막상 폰트를 만드는 과정을 접해보니 레터링과는 다른 매력이 느껴졌어요. 레터링이 짧고 굵고 화려한 맛이라면 폰트에서는 길고 지난한 듯해도 오래 우려 나오는 은은하고 정교한 맛이 느껴졌거든요. 이러한 작업이 평소에 긴 시간을 들여 하나의 큰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저에게 잘 맞는다고 느껴졌습니다. 물론 그때는 이렇게 직업이 될 것까지는 예상하지 못했지만요.ㅎㅎ 요즘은 일로써 하다보니 가끔 지칠 때도 있지만 또 그런 시간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저에게 잘 맞는 즐거운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Q. 독립 디자이너로써 런칭한 '타입이응'은 무슨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이름이 독특하고 귀여운데요.

타입이응은 활자를 뜻하는 ‘Type’에 제 중학교 때부터 별명인 ‘이응’을 합쳐서 만든 이름이에요. 너무 오래 전부터 그렇게 불려서 어쩌다가 그런 별명이 붙었는지는 기억이 희미해졌지만 아마 친구들이 이름을 변형해서 이것저것 애칭을 불러보다가 입에 붙는 별명을 붙여줬던 것 같아요. 그 별명을 만들어준 친구는 그로부터 약 10년 뒤쯤에 제가 한글 폰트 디자이너가 될 것을 알고 있었을까요? 

대학생 시절에 작업 계정을 만들려고 하니 갑자기 그 별명이 떠오르더라구요. 이응이라는 글자를 발음할 때 영어로 -ing 같은 느낌이 드는 것도 좋았어요. 언제나 작업 중인 저의 모습을 잘 나타내준다는 생각이 들었달까요. 그 이름을 바꾸지 않고 쭉 쓰다보니 지금의 '타입이응'이 되었네요. 그런 의미에서 뜻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타입 작업을 현재 진행 중인 이응’ 정도가 되겠네요.

 

 

Q. [밸런스 게임] 평생 내가 만든 폰트만 쓰기 vs. 평생 남이 만든 폰트만 쓰기.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저는 남이 만든 폰트만 쓰기요. 물론 제가 만든 폰트를 보면 참 뿌듯하고 많은 분들이 다양하게 활용해주셨으면 하는데요. 그만큼 저도 다른 분들이 만들어 주신 폰트를 이곳 저곳에 써보고 싶은 마음이 크답니다. 또 폰트는 워낙 제작 기간이 길다보니 동거동락한 폰트를 완성하고 나면 조금 거리를 두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하구요. ㅎㅎ 제 폰트는 다른 분들의 손에서 재밌는 모습으로 재탄생하기를 바라보고, 저는 다른 분들의 다채로운 생각이 담긴 폰트를 사용해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