딘(DIN)은 독일 산업규격이라는 Deutsche Industrie-Norm의 앞글자에서 따온 이름이에요. 1905년 독일의 프로이센 철도회사에서 모든 철도 차량에 사용할 글꼴을 통합하기 위해 처음 개발되었답니다. 이후 독일 산업 표준 협회가 디자인을 가다듬으며 DIN 1451을 개발했고, 다양한 공공영역에 활용하게 되었죠. 딘(DIN)은 독일은 물론 다른 유럽 국가의 도로 표지판 글꼴로 채택됐을 정도로 가시성이 뛰어나답니다.
딘(DIN)도 헬베티카(Helvetica)처럼 글자에 부리가 없는 대표적인 산세리프(san-serif) 폰트인데요. 그럼 헬베티카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가장 큰 차이로 딘(DIN)은 전반적으로 슬림한 디자인으로 보다 정돈된 인상을 지녔다는 것을 꼽을 수 있죠. 이 차이는 알파벳 O와 소문자 e의 디자인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요. 헬베티카의 O와 e의 디자인은 정원에 가까운 타원인 반면, 딘(DIN)을 적용한 O와 e는 캡슐과 닮은 타원형의 모양이죠.
또한, 디자인적 측면에서 다른 서체와 비교해 곡선도 훨씬 절제되어 있어 기하학적인 인상을 주죠. 심미적인 면은 물론 원래 산업용으로 개발된 서체인 만큼 우수한 가시성은 물론 기능적으로도 뛰어나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답니다.
이런 딘(DIN)의 매력에 빠진 산돌구름 유저를 위해 딘(DIN)의 슬림한 세련미를 닮은 다양한 산세리프 폰트를 소개합니다!
프로덕션타입
Signal
「Signal」은 오랜 시간 프랑스 도로를 지켜온 표지판 서체에서 영감을 받은 폰트예요. 1946년부터 프랑스 전역의 도로에 쓰여 온 이 서체는, 멀리서도 또렷하게 보이고 빠르게 읽히도록 디자인된 게 특징이에요. 운전 중에도 한눈에 읽을 수 있도록 간결하고 힘 있는 느낌을 담아냈답니다.
타입투게더
Protipo
「Protipo」는 정보 전달이 중요한 모든 디자인 환경에 잘 어울리는 폰트예요. 앱 UI, 인포그래픽, 길찾기나 교통 시스템, 포스터와 디스플레이, 심지어 인터넷 밈까지 어떤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죠.
더타입파운더스
Config
「Config」은 산업적인 느낌의 산세리프 폰트예요. 둥근 형태의 상단과 하단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됐지만, 측면은 직선으로 정리해 더 단단하고 공간 효율적인 구조를 완성했어요. 전체적으로는 중립적이고 친근한 인상을 주면서도, 디테일에서는 세심함이 느껴져 본문용은 물론 디스플레이용으로도 활용도가 높습니다.
더타입파운더스
Serca
「Serca」는 또렷하고 세련된 인상을 주면서도 차갑지 않고, 현대적인 느낌이지만 딱딱하거나 밋밋하지 않아 유용한 폰트입니다. 자소 안쪽이 넓게 열려 있어 가독성이 좋고, 작은 본문부터 큼직한 제목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련되고 정돈된 인상의 폰트를 한글에까지 사용하고 싶다면?! 네덜란드 폰트사 티포텍 November의 한글버전으로 확장된 산돌의 「SD 노벰버」도 주목해 주세요!
산돌
SD 노벰버
특히 「SD 노벰버」는 라틴, 한글부터 그리스문자, 키릴문자는 물론 인도 데바나가리 문자까지 지원하니, 여러 언어로 사용이 필요할 땐 더할 나위 없는 폰트랍니다!
기하학적이면서 슬림한 디자인의 폰트로 타이틀부터 본문까지 다양한 웨이트를 조합해 세련된 인상의 작업물을 만들어 보세요.